본문 바로가기

국민꿀정보

검사 늦어 과태료? 2025 자동차·오토바이 검사 달라진 규정 총정리

320x100
반응형
SMALL

2025 차량 검사 완벽 가이드

왜 지금? 2025년부터 자동차

검사 수검기간이 ‘만료 전 90일·후 31일’

로 확대되어 일정 여유가 생겼고, 2025-04-28부터

이륜차 안전검사 의무화

가 시행되어 과태료 이슈가 커졌습니다. 아래 표와 체크리스트만 따라도 과태료·재방문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자동자 검수 핵심 변화

1) 핵심 변화 한눈에 보기

  • 자동차: 검사 유효기간 기준 만료 전 90일부터 후 31일까지 수검 가능(전기한 확대).
  • 이륜차: 의무검사 도입. 신차 3년 → 이후 2년마다 정기검사. 수검 창구는 만료 전·후 31일.
  • 알림: 검사 사전안내(알림톡·우편) 신청 가능. 안내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소유자에게 검사 의무.
300x250

자동차 정기 검사 주기 완벽 정리

2)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 표(요약)

구분 차종/규모 대상 차령 유효기간(주기) 비고
승용 비사업용(전 차령) 전체 2년 신조차 최초 4년
사업용(전 차령) 전체 1년 신조차 최초 2년
승합 경·소형 ≤4년 / >4년 2년 / 1년  
중·대형 ≤8년 / >8년 1년 / 6개월 일부 신조차 최초 2년
화물 비사업용 경·소형 ≤4년 / >4년 2년 / 1년  
비사업용 중·대형 ≤5년 / >5년 1년 / 6개월  
화물(사업용) 경·소형(전 차령) 전체 1년 신조차 최초 2년
중형 / 대형 ≤5년, >5년 / ≤2년, >2년 1년, 6개월 / 1년, 6개월  
특수 전 규모 ≤5년 / >5년 1년 / 6개월  

언제 받아도 되나? 자동차(정기·종합)는 만료 전 90일~후 31일 내 수검 가능.

SMALL

자동차 과태료 얼마일까

3) 자동차 과태료 표 & 계산 예시

지연 기간 과태료 설명
만료 다음날~30일 4만 원 기본 과태료
31~114일 4만 원 + (매 3일 초과마다 2만 원) 31일째부터 가산
115일 이상 60만 원(상한) 지자체 부과

예시|만료 후 45일에 검사 → 4만 + {(45−30)=15일 ÷ 3}=5회×2만 = 총 14만 원.


이륜차 의무검사 세부사항

4) 이륜차(오토바이) 의무검사 디테일

  • 시행: 2025-04-28.
  • 주기: 신차 3년 → 이후 2년마다.
  • 대상: 대형 이륜차, 2018년 이후 제작된 중·소형 이륜차, 대형 전기이륜차.
  • 수검기간: 만료 전·후 31일 내.
  • 검사소: TS 공단 검사소(전국) + 민간 이륜차 검사소.

이륜차 과태료 표

지연 기간 과태료 비고
만료 다음날~30일 2만 원 기본 과태료
31~84일 2만 원 + (매 3일 초과마다 1만 원) 31일째부터 가산
85일 이상 20만 원(상한) 공단 고지 기준

예약부터 검사까지 단계별

5) 예약·조회(모바일/PC/전화)

  1. 사이버검사소에서 차량번호로 유효기간 조회 → 검사종류 선택 → 지역/검사소 선택 → 시간 예약.
  2. 전화|TS 고객센터 1577-0990(0번 상담원)로도 예약 가능.
  3. 알림 신청|검사 알림톡·우편 사전안내 신청 가능(가족 대행은 소유자 동의 필요).

감사수수료 안내

6) 수수료(공단 기준, VAT 포함)

자동차

검사종류 경형 소형 중형 대형
정기검사 17,000 23,000 26,500 29,000
종합(부하) 48,000 54,000 56,000 65,000
종합(무부하) 34,000 39,000 45,000 49,000
종합(배출면제) 15,000 20,000 24,000 26,000

이륜차

검사종류 수수료
정기검사(소·중·대형) 30,000
사용검사(대형) 50,000
임시검사 30,000

※ 민간 검사소는 수수료가 다를 수 있습니다.


유예제도 당일 준비사항

7) 유예(연장) 제도 — 꼭 알기

  • 대상: 개인 소유 일반차량에 한해,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 정기/종합검사 유효기간 연장(유예) 신청 가능.
  • 방법: 관할 등록관청 심사. 온라인 민원 포털(자동차365)에서 신청 안내·제출서류 확인.
  • 주의: 사전 신청이 원칙. 만료 후 신청해도 과태료 면제가 보장되지는 않음(관청 판단).

8) 당일 준비물 & 셀프 점검

  • 자동차등록증, 신분증, 의무보험 유지, 수수료 결제수단
  • 등화류, 타이어 마모, 경음기, 와이퍼·워셔액, 계기판 경고등(특히 엔진·배출가스) 사전 점검
  • 대기 줄이기 팁: 자동차는 전 90일 여유를 활용해 비혼잡 시간대 예약(평일 오후·이른 아침 추천)

9) 중고차 거래 전 체크리스트(신뢰도↑)

  1. 통합이력 확인(보험·정비·침수·리콜 등) + 성능·상태점검기록부 유효 120일 준수.
  2. 최근 검사 합격일·다음 만료일을 캡처해 구매자에 공유(자동차는 전 90일 창구 포함 안내).
  3. 시운전 중 경고등 여부, 배출가스 냄새·진동, 브레이크 편마모 점검.

10) 자주 묻는 질문(FAQ)

Q1. 비사업용 승용 신차는 언제 처음 검사하나요?
A. 최초 4년 후, 이후 2년마다입니다.

Q2. 전기 이륜차도 검사 대상인가요?
A. 대형 전기이륜차는 검사 대상이며, 일반 이륜차는 ‘신차 3년 → 이후 2년’ 주기를 따릅니다.

Q3. 이륜차도 90일 전부터 예약 가능한가요?
A. 이륜차는 공단 안내 기준 만료 전·후 31일 내 수검입니다(자동차와 다름).


캘린더 리마인드 팁(과태료 방지 3단계)

  • D-90 알림: 자동차 검사는 이때 예약하면 가장 여유롭습니다.
  • D-30 알림: 부품·소모품 교체 여유 확보.
  • D-7 알림: 일정 재확인·준비물 체크.

 

300x250
반응형
LIST